본문 바로가기

백/django

(3)
MBIT 장고-3 구조 - user, web server, app server -> 여태까지 했던 것처럼 단순히 runserver 하는 것은 적합하지 x 1. static file들을 한 곳에 모아야 함 settings.py에서 STATIC_URL밑에 아래 코드 작성 STATIC_ROOT = BASE_DIR / 'staticfiles' 후 console창에서 python manage.py collectstatic 입력. 2. WSGI 수정 WSGI : 웹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장고) 직접적으로 통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WSGI가 중재자 역할 해준다! wsgi 터미널창에 깔아주고 $ uwsgi \ --http :80 : http 80 서비스로 구동할거다 --home /나의 pwd/venv/ :home directory 설정 ..
MBIT 장고-2 Database seeding 모델에 요소 추가하는 법 : 1. 관리자 페이지에서 추가 / 2. 장고 shell에서 추가/ 3. loaddata와 dumpdata 명령어 사용 -> 1.2는 일일이 저장하는 방식이라 데이터가 많아지면 번거로움 따라서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땐 3 방식을 쓴다! 1. : models.py 내용을 admin.py에 가져와야 한다. 3. json: 자바스크립트의 object로 쓰이고 있는 key와 value vscode에서 만든 프론트엔드 form.html, index.html, result.html 파일들에 템플릿 태그들을 입힌 후에 templates로 이동시켜함 -> {% load static %} 달기 ( index.html에서 css를 css 폴더에서 가져오는 게 아니라서..
MBIT 장고-1 구름 ide 사용 이유 -> 구름 IDE는 설치가 필요없는 클라우드 통합 개발환경(IDE) 보통 개발을 할 때 OS Version, Python Version, Django Version 별 에러를 잡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또한 '개발은 배포 환경과 동일하게!'라는 말을 잊지 마세요. 우리의 리소스를 아껴줄 것입니다. 집에 서버와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비용(시간 비용, 금전적 비용, 기회 비용)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배포를 명령어 한 번으로 진행할 수 있어요! 또는 구름에서도 서비스를 런칭할 수도 있답니다. 항상 source venv/bin/activate 입력해서 가상환경 실행 시킨 후 작업 수행하기!! -> 앞과정에서 실수로 가상환경 실행 안 시킨 후 명령어 입력해서 나중에 에러 생겨 뒤늦게 ..